본문 바로가기

내가 해냄/패스트캠퍼스

(7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6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6일 차. 2월의 마지막 날이 되었다!! 오늘 지나면 3월~~ 챌린지도 어느 덧 1월, 2월을 지나 3월 차에도 하게되었다. 3월의 새로운 소식은 새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했다. 사실 아직 확정은 아니고 내일 면접을 보게되었다. 아직 면접 단계이긴 하지만 기존의 팀 프로젝트를 뛰어넘는 새로운 프로젝트라서 기대가 된다~~!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위해서라도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하는 이유가 하나 더 생긴 것 같다. 사용하는 언어의 폭을 높이기 위해서 이전에 스킵했었던 파트인 Vue에 대한 강의를 들어보았다. 오늘은 Vue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겠다. Vue.js 모던한 프론트엔드의 꽃이라고 하면 Vue.js와 같은 프레임워크들이다. 프론트엔드 개발 과정에 있어 중요하게 공부해야하는 부분 중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5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5일 차. 최근 들어서 느끼는건데 나는 완전 슈퍼 P형 인간이여서 계획따윈 없이 사는 것 같았는데 그 게으름 속에서도 나름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살아가며 나름의 규칙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언제부턴가 계획대로 되지않으면 굉장히 짜증나고 또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다. 주변 환경이 바뀌는 것도 크게 좋아하지않는 편인데 자의가 아닌 타의로 계획이 무너지거나 생각대로 못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러한 과정 하나하나가 굉장히 스트레스이며 틀어지기 시작하는 그 즉시 눈살이 찌푸러질 정도로 극도로 혐오한다. 너무 싫어. 늘 순간순간의 감정에 잡아먹히지않으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또 여기선 슈퍼 F형 인간이라서 감정의 노예가 된다. 결론은 오늘 갑작스럽게 방이 바뀌어서 짜증나고 화난단 소리이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4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4일 차. 2022년에 시작한 챌린지가 어느덧 2월의 마지막 주말이 되었다. 챌린지를 나름 오래 진행하다보니 양식 작성 후 검수를 대충 하게된다. 마지막이 된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초심을 돌이키며 오늘의 포스트를 작성해보겠다. 오늘 작성해볼 내용은 GraphQL이다. GraphQL 어제 33일 차 포스팅에서는 RestAPI에 대해서 간단한 설명을 적어보았다. RestAPI는 요청이 항상 메소드 + URI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결과물을 완전히 의도대로 다운받아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불필요하게 여러번을 요청해야할 수도 있고, 조회해온 데이터가 불필요한 데이터들을 많이 포함하여 용량이 커질 수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나온 것이 GraphQL이다. https://graphql.o..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3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3일 차. 낮잠을 잠깐 자려고 했는데 그대로 5시간을 자버렸다. 이럴수가. 낮잠을 자고 일어났는데 제일 먼저 든 생각이 챌린지해야지!!였다. 50일동안 진행하는 챌린지이지만 이렇게 챌며들었다. 오늘 정리해볼 부분은 RestAPI이다. RestAPI 메소드와 특정 uri의 형태의 조합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조회, 수정, 생성, 삭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책 목록보기 axios.get( "https://api.marktube.tv.vl/book:, { headers: `Bearer ${token}" }, ); // uri가 book인 경우 메소드(get)으로 요청을 하게되면 책 목록이 나옴 // 책 상세보기 axios.get( `https://api.marktube.tv.vl/book/${boo..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2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2일 차. 지원했던 팀 프로젝트에 떨어졌다 ㅠㅠ.. 팀 프로젝트를 대비해서 리액트 프로젝트 강의도 진행했었는데 너무 아쉬웠다. 프로젝트 진행하는 것도 너무 어려워잉. 아무래도 해당스터디를 진행하면서 팀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는것이 목표였었기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렇지만 나의 공부목표는 단지 팀 프로젝트만을 위한 것이 아니였기때문에 강의는 씩씩하게 계속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거라 정리할게 많이 없어서 오늘은 라우터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겠다. 리액트 라우터 리액트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방식으로써, 새로운 페이지를 로드하지않고 하나의 페이지 안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가져오는 형식을 가진다. 리액트는 view만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이기때문에 라우팅을 담..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1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1일 차. 이전에 패스해놨던 리액트의 프로젝트 강의를 진행해보았다. 리덕스 강의 뒤에 리액트로 만드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기도 하고 새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프로젝트 강의를 먼저 시작해보았다. 리액트 파트의 리액트 프로젝트 강의는 리액트로 쇼핑몰을 만드는 프로젝트와 나만의 책장을 만드는 프로젝트 두 가지가 있다. 이전에 공부할 때에도 프로젝트로 실습을 해보면서 진행했던 강의가 그냥 수업 강의보다 더 이해가 잘되었던 것 같아서 강의에서 헷갈렸던 부분들도 이번 프로젝트 실습을 진행해보면서 리액트와 더 친해지고 싶다~~ 리액트 프로젝트 진행 다른 강의들과 함께 공부를 조금 더 하고 진행하려했었던 리액트 프로젝트를 오늘 시작했다. Part10에 있는 리액트로 만드는 쇼핑몰 프로젝..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0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0일 차. 어느덧 앞자리가 3으로 바뀌었다. 이 말인 즉슨, 50일 챌린지의 절반 이상을 달려왔다는 뜻이다. 아무래도 50일 챌린지이기때문에 기간이 약간 길다고 생각되긴했었는데 하루하루 하다보니까 어느새 절반 이상을 씩씩하게 달려와버렸다. 또 요즘은 패스트캠퍼스에서 진행하는 여러가지 활동들을 하고 있는데 이 50일 챌린지 뿐만 아니라 다른 스터디나 챌린지도 동시에 병행하고 있어서 뭔가 더 책임감을 가지고 열심히 하게되는 것 같다. 그리고 현재는 실수로 전원버튼을 누르는 바람에 블로그 작성 글이 날라가버려서 다시 적고 있는 것이다.. 왜 임시저장이 안되었는가... Reducer(리듀서) 액션을 주면 그 액션이 적용되어 달라진( 안달라질수도 있다.) 결과를 만들어 준다. 항상 같은 input을 받으..
패스트캠퍼스) K-Digital Credit 프로그래밍 첫걸음 시작하기 2주 차 수강후기 | 프로그래밍 기초 인강 이번주에는 같은 강의를 듣는 다른 분들과 함께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1주 차에서 언급했듯이 강의를 진행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슬랙 채팅방이 있었는데 슬랙내에서 스터디를 모집했었다. 내 스터디 시간은 월요일이였었기에 어제(2월 21일)에 스터디를 한차례 진행하고 왔다. 함께 학습내용과 진도율을 공유하며 주마다 목표를 새로 설정하고 끝까지 수강할 수 있게 다짐을 다시 새겨보는 자리를 함께 가졌었다. 그렇게 많은 것을 하고 멋진 것을 뚝딱뚝딱 만들어내는 스터디는 아니지만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끼리 목표를 공유하고 응원하는 것 자체가 많은 힘이 되었다. 공부든 운동이든 시작하는 것은 힘들지만 시작한 뒤 꾸준하게 하는 것도 시작하는 것 만큼 어렵다고 생각하기에 같이 응원하고 격려하는 스터디가 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