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해냄/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9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29일 차. 챌린지 약 한 달 차가 되어간다. 시간이 이렇게나 빠르다니... 오늘은 리덕스 액션에 관해 정리해보았다.

 

Redux Action (리덕스의 액션)

 

  • 액션은 사실 그냥 객체(Object)이다.
  • 액션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type : 'TEST'} => payload 없는 액션

    - {type : 'TEST', params: 'hello' } => payload 있는 액션

 

  • type만이 필수 프로퍼티(Property)이며 type은 문자열(String)이다. 
리덕스의 액션 생성자란?

 

function 액션생성자(...args) { return 액션; }

 

  • 액션을 생성하는 함수를 "액션 생성자(Action Creator)"라고 한다.
  • 함수를 통해 액션을 생성해서, 액션 객체를 리턴해준다.
  • createTest("hello); => { type: 'TEST', params: 'hello'} 리턴
리덕스의 액션은 어떤 일을 할까?

 

  • 액션생성자를 통해 액션을 만들어낸다.
  • 만들어낸 액션 객체를 리덕스 스토어에 보낸다.
  • 리덕스 스토어가 액션 객체를 받으면 스토어의 상태 값이 변경된다.
  • 변경된 상태 값에 의해 상태를 이용하고 있는 컴포넌트가 변경된다.
  • 액션은 스토어에 보내는 일종의 인풋이라 생각할 수 있다.
액션 준비하기

 

1. 액션의 타입을 정의하여 변수로 빼는 단계

  • 강제가 아니다 ( 안해도 된다)
  • 그냥 타입을 문자열로 넣기에는 실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 미리 정의한 변수를 사용하면 스펠링에 주의를 덜 기울여도 된다.

2. 액션 객체를 만들어 내는 함수를 만드는 단계

  • 하나의 액션 객체를 만들기 위해 하나의 함수를 만들어낸다.
  • 액션의 타입은 미리 정의한 타입 변수로 부터 가져와서 사용한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프론트엔드개발초격차패키지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