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해냄/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5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35일 차. 최근 들어서 느끼는건데 나는 완전 슈퍼 P형 인간이여서 계획따윈 없이 사는 것 같았는데 그 게으름 속에서도 나름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살아가며 나름의 규칙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언제부턴가 계획대로 되지않으면 굉장히 짜증나고 또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다. 주변 환경이 바뀌는 것도 크게 좋아하지않는 편인데 자의가 아닌 타의로 계획이 무너지거나 생각대로 못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러한 과정 하나하나가 굉장히 스트레스이며 틀어지기 시작하는 그 즉시 눈살이 찌푸러질 정도로 극도로 혐오한다. 너무 싫어. 늘 순간순간의 감정에 잡아먹히지않으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또 여기선 슈퍼 F형 인간이라서 감정의 노예가 된다. 결론은 오늘 갑작스럽게 방이 바뀌어서 짜증나고 화난단 소리이다. 이상하게 털어놓을 곳도 풀어놓을 곳도 없어서 블로그에 주절거리게된다. 이 글은.. 강의 후기글인데말이다.... 오늘 정리할 파트는 Next.js로 블로그 만들기 부분이다. 

 

Sanity

 

 Next.js로 블로그를 만들기위해서 Sanity라는 컨텐츠 플랫폼을 사용한다. Sanity는 아래의 링크에서 Content is Data 를 모토로 컨텐트 플랫폼을 만든다. Sanity에서는 Sanity Stuodio를 사용하여 허가된 사람들은 모두 컨텐츠를 올릴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에서 컨텐츠를 가공하는 툴로 Sanity를 사용한다. 

https://www.sanity.io/

 

The Unified Content Platform – Sanity.io

Sanity is the unified content platform that lets your team work together in real-time to build engaging digital experiences across channels.

www.sanity.io

Sanity Studio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는 Sanity의 Dataset에 저장되는데 이것은 Sanity의 로컬에 있는 것이 아닌 Sanity에서 제공하는 sacc서비스에 포함되어있다. 데이터셋에서 클라이언트(Next.js)로 데이터모델을 보내게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쿼리 방식이 Sanity에서 제공하는 GROQ query이다. (GraphQL도 지원하긴하지만 부족한 기능들이 있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프론트엔드개발초격차패키지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