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해냄/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8일차 - 한 번에 끝내는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패키지 online

 

 챌린지 18일차. 어제 타입스크립트 간단한 설치를 하고 본격 강의를 들어보았다. 최근 리액트에 대해서도 공부하고 있는 중인데 대부분이 자바스크립트에 기반한 언어이다 보니까 항상 기준점은 자바스크립트가 되는 것 같다. 이 리액트도 뭔가 자바스크립트와 비슷한데 약간 다르고 미묘한 차이를 알아가면서 공부하는 점이 좀 재밌는 것 같다. 오늘 타입스크립트도 basic type에 관한 강의들을 들었는데 타입스크립트 또한 같은듯 미묘하게 달라서 알아가는 점이 흥미로웠다. 

 

JavaScript VS TypeScript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의 가장 큰 차이는 Dynamic Types과 Static Types이다. 개발하는 상황에서는 알 수가 없고 실제 런타임에 들어가야만 오류를 알 수 있는 Dynamic Types인 자바스크립트와는 다르게 타입스크립트는 Static Types로 개발하는 중간에 체크하며 알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프로그램이 유용하려면 가장 간단한 데이터 단위로 작업을 할 수 있어야하는데 타입스크립트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와 동일한 타입들을 제공하며 추가적인 타입들이 제공된다. 우선 자바스크립트 ECMAScript 표준에 따른 기본 자료형은 다음과 같다.

 

  • Boolean
  • Number
  • String
  • Null
  • Undefined
  • Symbol
  • Array : object형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프로그래밍을 도울 몇가지 타입들이 더 제공된다. 추가되는 타입들은 다음과 같다.

 

  • Any, Void, Never, Unknown
  • Enum
  • Tuple : Object 형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프론트엔드개발초격차패키지online